전체 글 (199) 썸네일형 리스트형 대항해시대, 정화와 콜럼버스 대항해시대라는 말은 유럽에서 시작되었습니다. 아시아와 유럽으로 물건을 팔러 육지(비단길)로 사람들이 오갔습니다. 그러나 육지로 가는 것에 대한 불편함이 있어 유럽인들은 인도나 동남아시아에 직접 가서 향신료를 얻기 위해 바닷길을 발견하려고 노력하였습니다. 이 시기를 대항해시대라고 합니다. 그러던 중 콜럼버스는 인도를 가는 짧은 길을 찾기 위해 지구 반대편으로 항해를 하다 1492년에 신대륙(미국)을 발견하기도 하였습니다. 콜럼버스 덕분에 새로운 항로와 신대륙을 발견하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콜럼버스는 그곳이 인도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아메리카 대륙의 원주민들을 인디언이라고 부르는 것입니다. 한편, 아시아에서는 콜럼버스의 아메리카대륙 발견 87년 전 명나라에 정화라는 인물이 왕의 명령을 받고 240여 척의.. 이슬람 왕국의 번성과 이슬람 문화 시작 3세기부터는 이슬람 상인들이 진출하면서 이슬람교를 전파하였고, 1402년 스리위자야의 왕자 파와메스와라(Pawameswara)가 조호르에 왕국을 세웠으나 마자파힛(지금의 인도네시아)왕국에 침공을 피해 현재 믈라카(말레이어 : Melaka) 또는 말라카(영어 : Malacca) 위치에 왕국을 세웠습니다. 초창기는 도시 규모의 작은 나라로 해협의 토착 주민인 오랑라웃(Orang Laut)의 도움을 받아 동남아시아 무역의 중심지가 되어갔습니다. 이후 소식을 들은 명나라는 남중국해와 인도양의 무역길 확보를 위해 1405년에 정화를 믈라카 왕국으로 보냈습니다. 그 덕분에 명나라는 서양 문화와 상품이 들어오는 길을 얻었고, 말라카 왕국은 해적으로부터 안전한 해상무역과 많은 손님을 얻게 된 것입니다. 그리고 1409.. 말레이시아의 힌두-불교 문화의 전파 인도양과 남중국해 사이에 위치하는 말레이시아는 동쪽의 중국과 서쪽의 인도와 아랍 국가들을 잇는 중요한 교통로로서 오래전부터 여러 민족의 교류가 활발하였습니다. 말레이시아는 주변의 해로가 넓게 개방되어 있어 주변국들로부터 접근이 쉬웠기 때문에 서쪽의 인도에서는 힌두교와 불교, 아라비아반도의 이슬람교, 유럽의 기독교 외에도 인도차이나반도, 중국 등 수많은 나라의 영향을 받아 다층적인 역사를 가지게 되었습니다. 가. 말레이시아의 힌두-불교 문화의 전파 말레이반도와 수마트라섬에 7세기경 불교 왕국인 스리위자야(Sriwijaya) 혹은 스리비자야(Sriwijaya, 산스크리트어) 왕국이 번성하였습니다. 산스크리트어로 스리(sri)는 “빛나는”이라는 뜻이고 비자야(vijaya)는 “승리” 또는 “최고”를 뜻합니다... 이전 1 ··· 63 64 65 66 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