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셀프연수/K문화전파를 위한 한국어교육

(3)
[한국어 표현 교육론] 말하기 평가, 교육의 실제 평가의 원리 지필 평가로는 불가능한 영역 말하기 과제의 실제성의미에 초점을 둔 행위 말하기 시험의 타당도평가할 내용을 평가했는가? 신뢰도평가내용의 예측성과 결과가 균일해야 한다 세환효과(washback effect) 말하기 평가의 유형 평가목적에 따른 평가 유형성취도 평가진단평가배치평가숙달도 평가 평가방식에 따른 평가유형직접평가준 직접평가컴퓨터 기반 평가 말하기 시험 유형 초급인터뷰 : 자기소개, 주말활동역할놀이 : 물건사기그룹토의 중급인터뷰 : 직업선택 등 다양한 주제, 구체적 상황역할놀이 : 좀더복잡하고 구체적 상황주제발표 : 자신의 나라 소개, 한국사회 고정관념 등 고급인터뷰 : 최근뉴스기사에 대한 의견토론 : 한국 사회 제도에 대한 토론   말하기 교육의 실제 초급Presentation-Pract..
[한국어 표현 교육론] 말하기 교육의 흐름 말하기와 말하기 교육 연구사 이집트 파라오 프사메티쿠스 이야기바벨탑 이야기피니어스 게이지 사고20세기 식민지시대로 구조주의, 행동주의에 토대를 둔 경험주의 설득력을 얻음 왓슨자극-반응-강화-습관화 Noam Chomskys언어 생득설, 언어장치 이론 Hymes의사소통 능력의 본질을 직관적으로 함축 Canale & Swain문법 능력, 담화 능력 사회언어적 능력 전략적 능력 제시 Widdowson의사소통을 위한 언어인가? 의사소통으로서의 언어인가? 논의 BachmanCanale & Swain 모델에서 의사소통 능력 대신 의사소통 언어 능력으로 제안  교수법 연구문법번역식 교수법직접교수법유럽인들이 식민지인들과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문법보다 회화 중심청각구두식 교수법
[한국어 표현 교육론] 말하기 정의와 특성 말하기 정의와 특성 말하기의 정의 언어적 요소 : 음성언어, 문자언어비언어적 요소 :  말하기 음성언어, 표현, 비언어적 요소 전은주(1999)개념적 정의 : 언어를 의미로 변형하는 인지적 작용 과정정서적 정의 : 개인의 내재 동기를 충족할 수 있게 언어적, 비언어적으로 표현하는 것활동적 정의 : 화자가 청자에게 변화를 주기 위해 메시지를 전달하는 행위국어교육 측면 - 인지적 과정에 주목한국어교육의 측면 - 조음과 인지 말하기 특성말하기는 구어를 통한 의사소통Brown(1994) 말하기의 특성무리짓기, 중복성, 축약형, 수행 변인구어체, 발화속도, 억양과 강세, 상호작용 무리짓기유창한 표현은 단어가 아니라 구단위적절한 단위를 무리 짓거나 호흡에 적잘한 단위로 무리 지어 표현 중복성문어와 달리 반복, 고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