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199)
카메라 촬영기법 카메라의 움직임에 따른 촬영기법 중 장비없이 사용할 수 있는 기법만 알아보자 1. 고정 샷 (Fix shot) 이 촬영 기법은 삼각대 같은 고정장치에 카메라를 고정시켜 피사체의 움직임과 상관없이 일체의 카메라 이동이나 카메라 조작 없이 촬영하는 기법 장소 이동하는 모습이나 풍경을 담을 때 주로 사용함 2. 달리 숏 (dolly shot) & 트랙킹 (tracking) 카메라를 장착한 채 이동하면서 촬영할 수 있도록 설계된 이동차 달리(dolly) 레일을 깔아야 하는 트랙킹(tracking) 등은 영화제작자 아닌 이상 불가능하므로, 비슷한 기법으로 카메라를 들고 걸어가면서 촬영하는 방법이 있다. 주로 1인칭 시점에서 장소를 소개하거나 도보 이동 모습이나 길의 모습을 담을 때 사용한다. ※ 줌 (Zoom) ..
[만권읽기] 인생설계와 사회성 관점에서 본 타이탄의 도구들 저자 팀 페리스 만 시간 법칙을 깬 사람들이 이야기역시나 미국인이 쓴 책이라 방법론을 열거한 책 여러 이야기가 담겨 있는데 기억에 남는 것은삶의 남은 시간을 시각화해서삶을 5년 주기로 나누어 프로젝트를 세워 살아간다는 것 그리고 실패를 대하는 자세와 실패를 다루는 방법이 흥미로웠다.마치 교사인 나의 삶의 방식이5년주기 혹은 4년주기로 프로젝트를 하는 것 같아 와 닿았다. 그리고 지난 교직과 삶을 되돌아 보니..첫 학교에서 교사들간 인간관계와 교사로서 아이들을 대하는 방법, 가르치는 방법에서 많은 실패를 했다.그 당시에는 부끄럽고 도망치고 싶었는데 지금 생각해보니 이룬 게 없으니 실패도 많았고또 어리고 어리석은 떄라 더 이상 떨어질 곳도 없이 밑바닥 그 자체였다.그리고 그 경험이 힘든 시기가 올 때마다 나..
교사들의 사기진작을 위한 다양한 고민 두 번 째 학교는 22학급의 6+1 부장체계였다 부장은 승진할 사람과 저 경력교사 중에 의욕적인 선생님이.. 분위기도 좋지 않았던 것 같다. 동학년 회의 때마다 학교를 옮기고 싶어하거나 업무가 많아 힘들다는 이야기를 많이 들었던 것 같다. 그러한 불만과 원성에는 실제 학교가 힘든 점도 있었지만 공통점은 요직의 부장 외에는 본인이 지원한 학교를 떨어져서 희망 순위를 돌고돌아 거의 마지막 학교였던 혹은 생각지도 못했던 학교로 오게 되어 일단 이 학교에 온 것이 만족스럽지 못한 상황이었던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실제로 많은 선생님들이 1년 뒤 청간 이동을 하게 만들었다. 이러한 분위기는 이미 교사들간 지배적이었으며 심지어 학부모님들도 알고 있으며 걱정하는 분들도 있었다. 그렇게 이동하신 분들 자리에는 신규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