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메라의 움직임에 따른 촬영기법 중
장비없이 사용할 수 있는 기법만 알아보자
1. 고정 샷 (Fix shot)
이 촬영 기법은 삼각대 같은 고정장치에 카메라를 고정시켜
피사체의 움직임과 상관없이 일체의 카메라 이동이나 카메라 조작 없이 촬영하는 기법
장소 이동하는 모습이나
풍경을 담을 때 주로 사용함
2. 달리 숏 (dolly shot) & 트랙킹 (tracking)
카메라를 장착한 채 이동하면서 촬영할 수 있도록 설계된 이동차 달리(dolly)
레일을 깔아야 하는 트랙킹(tracking) 등은 영화제작자 아닌 이상 불가능하므로,
비슷한 기법으로 카메라를 들고 걸어가면서 촬영하는 방법이 있다.
주로 1인칭 시점에서 장소를 소개하거나
도보 이동 모습이나 길의 모습을 담을 때 사용한다.
※ 줌 (Zoom)
카메라의 움직임 보다는 초점거리를 변화시켜 화면을 이동, 확장 시키는 효과이기 때문에
달리&트랙킹보단 부자연스럽지만
장면에 대한 놀람이나 경이와 같은 역동적인 감정을 표현할 수 있다.
3. 틸트 (Tilt)
틸트란 카메라 축에 카메라가 고정된 상태에서 위아래 수직으로 움직이는 것
위로 움직이는 것을 틸트 업(tilt up)
아래로 움직이는 것을 틸트 다운(tilt down)
흔히 영상의 오프닝, 높은 빌딩 모습, 큰 나무나 모델의 패션이나 몸매를 돋보이게 할 때 쓴다.
※ 붐 (Boom) : 지미짚으로 위아래로 움직이는 것
지미짚 대신 드론으로 이 방법을 사용할 수 있을 듯하다.
담고자 하는 장소의 전경이나 위치를 강조하고 싶을 때 사용할 수 있다.
4. 팬 (Pan)
파노라마, 연결기법이라고도 불리는 팬
카메라축에 고정된 카메라를 좌-우로 움직이는 것
고정샷의 화각이 답답함이나 지루함에 보완요소이나
속도가 너무 빠르면 화면을 볼 때 어지럽고
너무 느리면 답답하여 속도를 맞추는 것이 어렵다.
손으로 들고 움직일 수도 있고 짐벌 조이스틱으로 할 수 있다.
'19~23년 KSM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외학교 노하우] 업무 루틴 (0) | 2022.11.24 |
---|---|
한글학습 ㄹ 들어간 겹받침 읽는 법 (0) | 2022.11.22 |
교사들의 사기진작을 위한 다양한 고민 (1) | 2022.11.05 |
20221031 초간단 수업준비 1-2 수학 (0) | 2022.10.31 |
소규모 학교 생존기1 (0) | 2022.10.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