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199)
제 11기 세계시민교육 중앙선도교사 연수 변혁적 교육 탐구(AI머신러닝 통한 편견에 대한 생각 나누기 수업) 수업사례 나눔울산 신단아 선생님엔트리 머신러닝 이미지 분류하기로AI 이미지 학습시키기 빨간색 토마토와 초록색 사과를 훈련시키고초록색 토마토를 보여주면 사과로 인식함[엔트리 인공지능] 사물인식서비스 실습하기 동작영상 검색이미지를 일괄 다운로드 해주는 어플구매대행 이미지 다운로더 (팟쿤 fatkun alternative) - Chrome Web Store - https://chromewebstore.google.com/detail/%EA%B5%AC%EB%A7%A4%EB%8C%80%ED%96%89-%EC%9D%B4%EB%AF%B8%EC%A7%80-%EB%8B%A4%EC%9A%B4%EB%A1%9C%EB%8D%94-%ED%8C%9F%EC%BF%A4-fatkun-a/jhmpcopkebhhagjfmobglpohoml..
기후위기와 인권에 대한 세계시민교육의 방향 수업 구상 기후위기와 인권에 대한 세계시민교육의 방향1. 환경위기와 인권위기의 연계성기후위기는 단순한 환경문제가 아니라 인권과 직결된 사안이다. 기후변화로 인해 자연재해가 빈번해지고, 생태계 파괴가 심화되면서 인간의 생존권, 건강권, 주거권 등이 위협받고 있다. 특히 가난한 계층과 취약계층이 가장 큰 피해를 입으며, 이는 기후정의(climate justice) 문제로 이어진다.2. 현재 벌어지고 있는 상황지구 열대화(Global Boiling): UN 사무총장은 기후변화가 지구 온난화를 넘어 ‘지구 열대화’ 시대로 접어들었다고 경고함.기후 양극단(Climate Whiplash Events): 극단적인 기후변화로 인해 가뭄과 홍수 같은 재난이 빈번해지고 있음.산불과 이상기후: 미국 LA 산불, 베트남 가뭄 및 염류화..
제 11기 세계시민교육 중앙선도교사 역량강화연수 이슈탐구(기후위기,인권) 강의 조효제 교수님1) 환경위기와 인권위기의 연계성2) 어떤 일이 벌어지고 있는가3) 기후와 인권의 논리4) 세계시민교육과 기후-인권 기후위기와 인권에 대한 세계시민교육의 방향 개인의 작은 방법 실천론+ 다른 차원에서의 시각변화 필요 교수님 제안환경-실천 교육 ; SNS활용예체능 활동연계 ; 기후행동 관련 예술활동 찾기K-기후행동 모델기후위기 시대의 미래 진로 설계 https://www.bing.com/search?q=조효제&qs=n&form=QBRE&sp=-1&lq=0&pq=조효제&sc=6-3&sk=&cvid=C671C28AD23443349238203DBB432E33&ghsh=0&ghacc=0&ghpl= 조효제 - BingBing은 지능적인 검색 기능은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빠르게 검색하고 보상을 제..
생성형AI MS copliot 무료 사용방법(feat.인천시교육청)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제 11기 세계시민교육 중앙선도교사 역량강화 연수 학습나침반 2030 OECD Learning Compass 2030 개요 및 의미1. 개요정식 명칭: OECD Learning Compass 2030발표 기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발표 연도: 2019년목적: 급변하는 미래 사회에서 학생들이 자기 주도적으로 삶을 개척하고, 사회에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 수 있도록 돕는 교육 프레임워크 제공2. 배경 및 필요성21세기 사회는 기술 발전, 기후변화, 사회·경제적 불평등 증가 등으로 예측 불가능한 변화를 겪고 있음.기존의 지식 중심 교육으로는 복잡한 사회 문제 해결이 어려워, 역량 기반 교육(Competency-based education) 필요.OECD의 교육 정책 연구(예: PISA, Education 2030 프로젝트)와 연계하여 미래형 학습 모델 제안.3. Learni..
제 11기 세계시민교육 중앙선도교사 역량강화 연수 세계시민교육 역사 세계시민교육(Global Citizenship Education, GCED) 역사세계시민교육(GCED)은 글로벌 사회에서 책임감 있는 시민을 양성하기 위한 교육 개념으로, 평화, 인권, 지속 가능성, 상호 이해 등을 강조합니다. 다음은 세계시민교육의 주요 역사적 발전 과정입니다.1. 근대 이전: 보편적 가치의 확산고대부터 다양한 문화에서 인류 보편 가치(예: 공자의 인仁, 스토아 철학의 세계시민 개념, 종교적 평등 사상)가 존재.18세기 계몽주의 시대에 칸트(Immanuel Kant)가 **"영구 평화론"**을 통해 세계 시민 개념을 제안.2. 20세기: 국제기구 중심의 세계시민교육 태동① 제1차, 2차 세계대전 이후 (1919~1945)전쟁을 계기로 평화와 인권 교육의 필요성이 대두.1919년 국제연맹..
[교실혁명 선도교사] 2022 개정 교육과정 연계 디지털 AI활용 과정 중심 평가 도구 개발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교실혁명 선도교사] 2022 개정 교육과정 연계 디지털 AI활용 학생참여 수업 설계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교실혁명 선도교사] 연수 오전 교실혁명을 이끄는 성찰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방문형 디지털 새싹 프로그램 신청 디지털 새(New) 싹(Software · AI Camp) 캠프가 무엇인가요?  전국의 초·중·고 학생들에게 소프트웨어와 인공지능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유발하고, 체험과 교육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진행되는 사업으로, 대학과 기업 등 다양한 디지털 교육 전문가들이 힘을 합쳐 전국 단위로 실시하는 캠프입니다.  학생들은 디지털새싹을 통해 다양한 소프트웨어, 인공지능 교육에 참여해 보면서 그동안 접하기 어려웠던 디지털 기술에 흥미를 가지고 배움까지 얻는 좋은 기회가 될 것입니다.  참고로 해당 프로그램은 대학·민간 31개의 전문기관과 함께합니다.   출처 : 디지털새싹 공식 홈페이지   참여형 위의 기관에서 직접 운영을 하며 학생들이 신청해서 선정되는 방식이다. 교사와는 무관한 사업이다.   방문형 위의 민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