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 Learning Compass 2030 개요 및 의미
1. 개요
- 정식 명칭: OECD Learning Compass 2030
- 발표 기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 발표 연도: 2019년
- 목적: 급변하는 미래 사회에서 학생들이 자기 주도적으로 삶을 개척하고, 사회에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 수 있도록 돕는 교육 프레임워크 제공
2. 배경 및 필요성
- 21세기 사회는 기술 발전, 기후변화, 사회·경제적 불평등 증가 등으로 예측 불가능한 변화를 겪고 있음.
- 기존의 지식 중심 교육으로는 복잡한 사회 문제 해결이 어려워, 역량 기반 교육(Competency-based education) 필요.
- OECD의 교육 정책 연구(예: PISA, Education 2030 프로젝트)와 연계하여 미래형 학습 모델 제안.
3. Learning Compass 2030 핵심 개념
🔹 비전:
"학습자가 자신의 삶과 주변 세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량 함양"
🔹 핵심 구성 요소
👉 학생 주도성 (Student Agency)
- 학생들이 자기 삶과 학습에 능동적으로 참여하고, 스스로 의미 있는 목표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함.
👉 변화하는 세상을 위한 역량 (Transformative Competencies)
- 단순 지식 습득이 아닌, 미래 사회에서 적극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고 기여할 수 있는 역량 개발 강조.
- 핵심 3가지 역량:
- 새로운 가치 창출 (Creating new value)
- 긴장과 딜레마 조정 (Reconciling tensions and dilemmas)
- 책임감 있는 행동 (Taking responsibility)
👉 지향점 (The Compass)
- 학습자는 단순한 목표 달성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방향을 설정하고 조정할 수 있는 역량을 길러야 함.
- 교육이 학생들에게 변화하는 환경에서 의미 있는 선택을 할 수 있는 나침반 역할을 해야 함.
👉 웰빙(WELL-BEING)과 지속 가능한 미래
- 학습자의 개인적 성장뿐만 아니라, 사회적·환경적 지속 가능성까지 고려하는 교육을 지향.
4. Learning Compass 2030 모델 구조
- 사회적 목표 (Societal Goals) → 학생 주도성 (Student Agency) → 핵심 역량 (Transformative Competencies) → 지속적인 학습 및 성장
- 교사, 학교, 정책 입안자 등 모든 교육 관계자가 학생이 올바른 방향을 찾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역할 수행.
5. Learning Compass 2030의 의의 및 영향
✅ 기존 교육(지식 중심)에서 역량 중심 교육으로 전환 촉진
✅ 미래 사회 변화 대응을 위한 창의적·비판적 사고 능력 강조
✅ 학생의 자율성과 책임감 증진, 지속 가능한 사회 발전 기여
✅ OECD 교육 2030 프로젝트의 핵심 모델로, 전 세계 교육 개혁에 큰 영향
결론: Learning Compass 2030은 단순한 교육 개혁이 아니라, 학생들이 예측 불가능한 미래에서도 스스로 길을 찾고, 사회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도록 돕는 글로벌 교육 방향입니다
'셀프연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 11기 세계시민교육 중앙선도교사 역량강화연수 이슈탐구(기후위기,인권) (0) | 2025.01.22 |
---|---|
생성형AI MS copliot 무료 사용방법(feat.인천시교육청) (0) | 2025.01.22 |
제 11기 세계시민교육 중앙선도교사 역량강화 연수 세계시민교육 역사 (0) | 2025.01.21 |
[교실혁명 선도교사] 2022 개정 교육과정 연계 디지털 AI활용 과정 중심 평가 도구 개발 (1) | 2025.01.19 |
[교실혁명 선도교사] 2022 개정 교육과정 연계 디지털 AI활용 학생참여 수업 설계 (0) | 2025.0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