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셀프연수/K문화전파를 위한 한국어교육

[한국어 표현 교육론] 말하기 평가, 교육의 실제


평가의 원리

 

지필 평가로는 불가능한 영역

 

말하기 과제의 실제성

의미에 초점을 둔 행위

 

말하기 시험의 타당도

평가할 내용을 평가했는가?

 

신뢰도

평가내용의 예측성과 결과가 균일해야 한다

 

세환효과(washback effect)

 


말하기 평가의 유형

 

평가목적에 따른 평가 유형

성취도 평가

진단평가

배치평가

숙달도 평가

 

평가방식에 따른 평가유형

직접평가

준 직접평가

컴퓨터 기반 평가

 


말하기 시험 유형

 

초급

인터뷰 : 자기소개, 주말활동

역할놀이 : 물건사기

그룹토의

 

중급

인터뷰 : 직업선택 등 다양한 주제, 구체적 상황

역할놀이 : 좀더복잡하고 구체적 상황

주제발표 : 자신의 나라 소개, 한국사회 고정관념 등

 

고급

인터뷰 : 최근뉴스기사에 대한 의견

토론 : 한국 사회 제도에 대한 토론

 

 

 


말하기 교육의 실제

 

초급

Presentation-Practice-Production

제시-연습-활용

예) 길찾기

제시

기능, 문법, 어휘 제시

기능 : 길찾기, 정보구하기

문법 : -다가,-(으)면

어휘 : 방향어휘, 교통어휘

연습

대화단위의 통제된 연습

으면, 면 선후행절 연결문제

활용

실제 과제 제시 역할극

지도 그림을 보고 길 안내

 

중급

Task1-Teach-Task2

과제전-과제수행-과제후

예)교통사고

과제 전

- 과제부여하기

다양한 연습, 관련 어휘 노출

사건에 대한 내용을 다른사람에게 전달하기

- 과제 준비

과제 수행의 내용, 방법 알아보기

과제수행

-과제수행

소그룹 나누어 학생들에게 기사 내용 전달
그룹별로 학생들간 기사 내용 전달하기

-발표하기

들은 내용 기사 내용 요약하여 발표하기

과제후

-문법 설명

학생발표 평가, -대요 사용법 추가 연습이 필요한 경우 연습 실시

-과제물 부여

사건에 대해 -대요를 써서 과제 해오는 숙제 부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