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하기와 말하기 교육 연구사
이집트 파라오 프사메티쿠스 이야기
바벨탑 이야기
피니어스 게이지 사고
20세기 식민지시대로 구조주의, 행동주의에 토대를 둔 경험주의 설득력을 얻음
왓슨
자극-반응-강화-습관화
Noam Chomskys
언어 생득설, 언어장치 이론
Hymes
의사소통 능력의 본질을 직관적으로 함축
Canale & Swain
문법 능력, 담화 능력 사회언어적 능력 전략적 능력 제시
Widdowson
의사소통을 위한 언어인가? 의사소통으로서의 언어인가? 논의
Bachman
Canale & Swain 모델에서 의사소통 능력 대신 의사소통 언어 능력으로 제안
교수법 연구
문법번역식 교수법
직접교수법
유럽인들이 식민지인들과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
문법보다 회화 중심
청각구두식 교수법
'셀프연수 > K문화전파를 위한 한국어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어 표현 교육론] 말하기 평가, 교육의 실제 (1) | 2024.10.12 |
---|---|
[한국어 표현 교육론] 말하기 정의와 특성 (0) | 2024.09.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