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롬프트1
통합학급 운영 개선을 위한
다른 구성원의 역할 확대 사례
검색해줘 다른 나라도 좋아
통합학급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해 학부모와 지역사회의 적극적인 참여가 중요합니다.
다음은 이러한 구성원들의 역할을 확대하여 통합교육을 성공적으로 구현한 국내외 사례입니다.
1. 학부모의 참여와 지원
- 학부모 연수 프로그램: 서울특별시교육청은 학부모를 대상으로 통합교육의 이해와 지원 방법에 대한 연수를 실시하여, 학부모들이 통합학급 운영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유도하고 있습니다.
- Webzine Serii
- 학부모 지원 그룹: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주의 Inclusion BC는 학부모들이 통합교육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지원할 수 있도록 'Everyone Belongs in Our Schools'라는 핸드북을 제공하여, 학부모들의 참여를 촉진하고 있습니다.
- Inclusion BC
2. 지역사회의 협력과 지원
- 지역사회 연계 프로그램: 영국의 Education Endowment Foundation은 학교와 지역사회가 협력하여 학생들의 소속감과 공동체 의식을 강화하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의 출석률과 학업 성취도가 향상되었습니다.
- Education Endowment Foundation
- 커뮤니티 스폰서십 프로그램: 미국의 여러 학교에서는 지역 기업과 단체가 통합학급의 활동을 지원하는 스폰서십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학생들에게 다양한 학습 기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 Teachers Institute
3. 교사와 학부모, 지역사회의 협력 모델
- 정다운학교 사례: 울산 매곡초등학교와 경기도 세종고등학교는 특수교사와 일반교사가 협력하여 통합교육 협력모델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였으며, 학부모와 지역사회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통합학급 운영의 모범 사례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이러한 사례들은 학부모와 지역사회의 적극적인 참여와 협력이 통합학급의 성공적인 운영에 큰 기여를 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와 사회성 발달이 향상되며, 학교와 지역사회 전체의 통합교육에 대한 이해와 지지가 강화됩니다.
프롬프트2
인천시교육청 특수교육지원센터
인원 규모와 하는 역할을 검색해줘
- 장애 학생 조기 발견 및 상담
- 진단·평가 및 선정·배치
- 순회특수교육
- 진로·직업 및 전환교육
- 장애 학생 인권보호
- 교사·학부모 연수
인천동부교육지원청의 동부특수교육지원센터는 특수교사 16명과 치료사 2명이 근무하며, 통합교육 지원 강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인천광역시교육청은 지역 중심의 특수교육지원센터 역할 강화를 위해 센터를 확장 이전하고 전문 인력을 확충하였습니다. 예를 들어, 영종도 운서초에 남부특수교육지원센터 분원을 설치하고, 남부특수교육지원센터를 인천서흥초등학교에서 제물포중학교 수연관 2층으로, 동부특수교육지원센터를 인천도림초등학교에서 인천중앙초등학교 별관동으로 확장 이전하였습니다.
이러한 노력은 특수교육대상 학생들의 교육적 요구를 충족시키고, 통합교육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입
더불어민주당 백승아(비례) 국회의원의 국회 교육위원회 국정감사 자료를 보면, 인천의 특수교육 대상자 1인당 교육비는 2353만원으로, 국내 평균(3229만원)의 73% 수준에 그친다. 시·도교육청 17개 중 최하위다.
반면 인천의 특수교육 수요는 급증하고 있다. 인천의 특수교육 대상자는 2020년 6223명에서 2024년 8161명으로 31% 증가해 시·도 17개 중 4위를 기록했다.
특수학교도 크게 부족하다. 현재 인천 특수학교 10개의 적정 학급 규모는 255학급이지만, 실제 운영 중인 학급은 357학급으로 과밀 운영되고 있다. 특수교육 대상자 8161명 중 특수학교에 진학할 수 있는 정원은 2236명으로, 3.6명당 1명꼴이다.
이로 인해 인천의 과밀 특수학급 비율은 17.3%로 국내 시·도 17개 중 두 번째로 높다.
조 의원은 "특수교육비 예산 확대와 과밀학급 방지를 위한 유동적 학급 구축, 교원 정원 확충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출처 : 인천투데이(http://www.incheontoday.com)
방법은 많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소통이 먼저~!
'교단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통과 불통의 한 끗 차이 (0) | 2023.07.27 |
---|---|
1-1 국어. 받침이 있는 글자로 놀이하기(9,10/10) (0) | 2023.06.22 |
1-1국어 5. 다정하게 인사해요 (0) | 2023.06.14 |
소규모 학교 생존기 2 (0) | 2022.1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