넥슨재단이 후원하고 인천시교육청과 컴퓨팅초등교사협회가 주관하는
High-5ive 읽.걷.쓰. 챌린지를 하다 보면
브릭 관리가 어려워 쉽게 활동할 엄두가 안 난다.
도토리SSam 고민해결~!
1. 브릭관리는 지퍼백을 활용하자
아이를 데리고 브릭 카페에 가보면 아는 지식
색깔, 종류별로 다 정리하면 너무 힘들고
언박싱을 할 때 봉지 그대로 지퍼백에 보관하고
봉지에 이름 혹은 숫자를 적고 브릭의 총 수량을 적는다.
그런데, 수업 안에 활동이 안 끝나면 어떡하죠?
2. 스튜디오 보관 박스 만들기
레고 박스에 부품만 정리 후
미완성작은 스튜디오 박스에 넣는다!!
준비물 : 레고 박스를 넣을 수 있는 넓고 튼튼한 박스
필자는 학생들에게 지급된 노트북 박스를 스튜디오 박스로 활용했다.ㅎㅎ
미완성품 정리!! 브릭 한 개도 놓치지 않는다~!
3. 스튜디오 박스로의 활용
보관 박스를 그대로 스튜디오로 활용할 수 있다.
벽면에 배경을 그려 넣을 수도 있고
같은 색으로 해서 크로마키 벽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상단에 구멍을 뚫어 조명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
아이디어 넘치쥬?
4. 박스 정리하기
스튜디오 박스 아래 레고박스를 넣고
위에는 작품을 전시하고 다음 시간에 활용한다.
필자는 교실창틀 책꽂이 위의 공간에 놓았는데
공간이 부족하다면 박스를 쌓아올려도 된다.
'23년~26년 공항초 업무 아카이브 > 24년 읽.걷.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읽걷쓰 국제 학술대회 기록 (1) | 2025.01.04 |
---|---|
AI 인간 자연 간의 공존과 협력을 위한 읽걷쓰 기반 인천AI교육 (9) | 2024.12.19 |
2024 읽걷쓰 실천가 양성 직무연수 (0) | 2024.12.16 |